Original Live Club
Women's Only Space

2006
The 6th Gwangju Biennale

The architectural space exhibition in The Last Chapter- Trace Route: Remapping Global Cities is entitled Original Live Club, an exclusive space for women. Stereotyped female images usually shown in male-only clubs are presented at the entrance of the installation. Yet when one enters the space, one will discover objects and installations specially conceived for women. The only way for men to access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of the space will be through the stories told by the women who have actually visited it. The information about this installation will therefore totally rely on the stories told or not told by the women.
The starting point for the project is a reflection on various survival methods.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ism and localism. It also raises the question of communication and circulation of information between two levels?and as such of power relationship?through a play on what is spoken/unspoken. I intentionally block men the access to the space in order to provoke and represent the kind of frustration which one can experience on both individual/local and collective/global levels, as well as within art institutions such as biennales.

This installation symbolizes globalism, which is a homogenization and control system. While we are reminded of this ideology of control, femininity which is the initial vehicle of human life is brought into the game of artistic communication and language tools.

오리지널 라이브 클럽
여성전용공간

2006
제6회 광주비엔날레


[오리지널라이브클럽]이라는 제목의 이 공간은 여성전용공간이다. 이 공간입구에는 남성전용클럽에서만 일반적으로 혹은 전 세계적으로 제공되는 여성이미지들이 상영되고 있다. 커튼을 젖히고 공간내부로 들어서면 여성들에게만 제공되는 액티비티와 연계된 설치물 그 밖의 시설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이 내부의 묘사는 이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얻어진 이야기들에 의해서만 외부로 소통, 전달되거나 혹은 좌절될 것이다. 작가의 생존방식과 유형에 관한 고찰로부터 출발해서 미술제도 안에서의 비엔날레, 이러한 전지구적 네트워크가 개인적, 지역적 관계에 있어서 돌출시키는 사소한 좌절들을 남성들의 출입을 배제해 새롭게 자극하고 제한적인 언어의 소통을 다시 겪게 함으로서 글로벌리즘과 로컬리즘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글로벌리즘이라 불리는 일원화된 통제방식의 또 다른 이름을 전용공간으로 대치하면서 외부적으로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새삼 각인시키고 '인류 최초의 이동수단'이었던 여성의 성을 미술의 소통방식, 언어라는 도구를 지닌 자들의 게임에 노출시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