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ouk Lim graduated from the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Paris and debuted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when the Korean art scene was gaining contemporaneity. Lim’s work extends personal experiences into a broader social realm, combining the intense political context of historical discontinuity and trauma with challenging yet sensory poetic narratives. Ranging from sculptures in non-fixed, fragile forms using organic materials, to video and performance that reposition fact and fiction, to multifaceted installations incorporating drawings, text, and sound, the artist’s work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genres and categories of media, reaching the point where each medium intersects and translates one another. Lim’s works engage in a “reconfiguration of the sensible” that seeks to uncover history’s hidden voices and forms. Her media is based on questions about modernity, issues of community and memory, and reflections on places concealed by time and space. Lim’s work is considered a “mediumistic media” that explores forms that revitalize endangered relationships in unfinished structures.

Lim has been the subject of solo exhibitions and project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18); Centre Pompidou, Paris (2017); PLATEAU,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5); Portikus, Frankfurt (2015); Walker Art Center, Minneapolis (2012); the National Museum of Asian Art,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2011), Art Sonje Center, Seoul (2008).

Her work has been included in group exhibitions at museums around the world, including Secession, Vienna (2024); Philadelphia Museum of Art, (2023); Schirn Kunsthalle, Frankfurt (2022); MAXXI, Rome (2019);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2015); and Kunsthalle Wien (2015). She has also participated in numerous international biennials, including Gwangju (2021, 2014, 2008, 2006), Lyon (2019), Sydney (2016), Taipei (2016), Liverpool (2010), and Istanbul (2007), as well as the Asia Pacific Triennial, Brisbane (2021); Asia Society Triennial (2020); Setouchi Triennial (2016) and the Paris Triennale (2012).

Lim's works are part of major collections at Tate Modern in London, Guggenheim in New York, Centre Pompidou in Paris,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Walker Art Center in Minneapolis, Kadist Foundation along with Korea'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Museum of Art, and Art Sonje Center in Seoul.

She was selected as a finalist for the Obayashi Foundation's research program in 2023, and she held a related solo exhibition and performance in March 2024. She received the Asia Art Game Changer Award from the Asia Society in New York.

임민욱(b. 1968)은 파리 국립 고등조형예술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 미술현장이 동시대성을 획득해 나가던 전환기에 데뷔했다. 개인의 경험을 더 넓은 사회적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그의 작업은 역사적 단절과 트라우마의 첨예한 정치적 맥락을 도전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시적 내러티브와 결합시킨다. 특히 유기적 재료 사용과 비-고정적이며 연약한 형태의 조각, 사실과 허구를 재배치하는 비디오와 퍼포먼스, 드로잉과 문자, 사운드를 포함한 다면적 설치 등은 각 매체가 상호 교차하여 서로를 번역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장르의 경계와 매체의 범주를 넘어 선다. 이러한 ‘감각의 재조정’을 통해 역사의 감추어진 목소리와 형상을 추적하는 임민욱의 미디어는 근대성에 대한 질문, 공동체와 기억의 문제, 시간과 공간으로 은폐되었던 장소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한다. 임민욱의 작업은 위기에 놓인 관계들을 미완의 구조로 살려내는 형식을 모색하는, ‘영매(靈媒)적 미디어’로 평가받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오바야시 재단의 리서치 그랜트 <도시의 비전> 수상을 계기로 개최된, 《하이퍼 옐로우》 (코마고메 소코, 2024)를 비롯하여 《정오의 화석》 (티나킴 갤러리, 2022), 《만일(萬一)의 약속》(삼성미술관 플라토, 2015), 《United Paradox》 (포르티쿠스 미술관, 2015), 《Heat of Shadow》 (워커아트센터, 2012), 《점프 컷》 (아트선재, 2008) 등이 있다. 그 외에도《DMZ-체크 포인트》(파주 캠프 그리브스, 2023) 《시간의 형태-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전》, (필라델피아 미술관, 미국 2023), 《We Do Not Dream Alone》(아시아 소사이어티 트리엔날레, 뉴욕, 미국 2020》  《2021 타이틀 매치 임민욱 vs. 장영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21), 《2021 광주비엔날레 GB커미션》( 광주 옛 국군병원, 광주, 2021), 《내 나니 여자라》(수원시립미술관, 2020) 등의 주요 그룹전에 참여하였고 아시아 퍼시픽 트리엔날레, 아이치 트리엔날레, 세토우치 트리엔날레, 리옹, 시드니, 타이페이, 이스탄불, 광주, 부산, 리버풀 비엔날레 등 글로벌 미술현장에서 초청되었다. 임민욱의 작업은 리움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수원, 울산 시립미술관을 비롯한 국내 미술관과 SF MoMA(샌프란시스코), 구겐하임(뉴욕), 테이트 미술관(런던), LACMA(로스앤젤레스), 워커아트센터(미니애폴리스), 퐁피두 센터(파리), 카디스트 재단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AAA, 뉴욕) 등 해외 주요기관에 소장되었다.